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리스트 상세
알림마당>기정원소식 상세페이지

알림마당>기정원소식 상세페이지 - 제목, 내용, 작성자, 조회수 등등

[보도자료] 기정원 '세계 일류 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포부 밝혀
작성자 관** 작성일 13/02/27 (17:49) 조회수 6012

<br />
2013년 1월 18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br />
TIPA 보도자료<br />
문의 : 기획조정부 / 윤선주책임 / 전화 : 02-3787-0452 / 팩스 : 02-6234/3102 / 이메일 : ysj126@tipa.or.kr<br />
       최용원부장 / 전화 : 02-3787-0421 / 팩스 : 02-6234-3102 / 이메일 : ywchoi@tipa.o.kr<br />








기정원 '세계 일류 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포부 밝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노사협의를 통해 오는 3월 5일부터 3월 7일까지 이전을 완료하기로 합의하였다고 밝히면서, 10년여의 여의도 시대를 마감하고 대전에서 유관기관과 공조하여 세계 일류 기술혁신지원기관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지난 2002년 중소기업 정보화지원 전문을 위해 설립된 기정원은 2006년 기술혁신 지원으로 무게중심을 옮겨 2013년에는 4,000억원이 넘는 중소기업 R&D 지원 등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발전해 왔다. 
  * 정원 : (02) 30명 → (13) 72명(140% 증), 예산 : (02) 350억 → 4,000억(1,043% 증)


□ 더욱이 개원 10주년을 앞둔 2011년부터 세계 일류 기술혁신지원이 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대대적인 혁신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자체적으로는 2년간 연평균 12억원 상당의 평가관리예산을 절감하여 아깝게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한편, 중소기업에 대하여는 대폭적인 평가기간 단축과 평가부담 완화 등 애로해소 및 R&D 조기착수를 지원한 결과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91.4점을 획득하는 등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또한, 평가위원들의 기술경영분야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각계의 의견 수렴을 거쳐 R&D 평가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R&D 지원기관 최초로 평가위원에 대한 기술경영(MOT) 교육과정을 기정원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평가위원의 평가역량이 향상되었다는 각계의 평가를 받고 있으며,


 ◦ 감사원, 국회, 각종 언론에서 지적해 왔던 R&D 분야 정부지원금의 투명한 사용을 위해 역시 국내 최초로 연구개발 과정에 필요한 연구기가재 및 재료의 전자적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구매지원시스템”을 정부지원 없이 기정원 자체예산으로 구축·운영하여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금의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조성에 기여했다는 평이다. 



<기정원 주요 혁신 성과>
◈ 고객만족도 : (10) 84.1점 → (11) 86.7점, R&D 지원 만족도 : (10) 82.2점 → (11) 86.2점
◈ 예산절감 : (11) 12억 절감, 8개 기업 추가지원, (12) 11억 절감, 8개 기업 추가지원
◈ 공공기관 경영평가 : (10) 90.0점 → (11) 91.4점
◈ 평가기간 단축 : (11) 139일 → (12) 77일(44.6% 단축)
◈ 평가위원 기술경영(MOT) 교육, 발표자료 작성폐지, 대면평가 기회확대 등 중소기업 부담완화 등을 통한 중소기업 평가만족도 개선 : (개선전) 3.92점 → (개선후) 4.02점



□ 이러한 가운데 기정원은 대전지역으로 기관이전을 추진하면서 노조가 파업까지 하는 등 갈등이 있었으나 최근 노사합의를 이루어 다행이다.


 ◦ 윤도근 기정원장이 기관이전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이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성과를 내려고 노력해야 하는데, 연간 정규직 직원 12% 상당이 대전으로 전일 출장을 가야 하는 현재 구조로는 아무리 혁신을 해도 한계가 있으며, 향후 경제 관련부처가 모두 세종시로 이전하게 되면 대전지역 출장수요가 15%가 넘을 것이 확실시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 기정원 노조에서도 기관이전이 불가피하다는데 이의가 없고, 다만, 이전으로 인한 직원들의 불편을 최대한 해소해 달라는 것과 이전시기를 늦추자는 것이었다.


 ◦ 기정원 노사 양측은 이전시기 및 직원들의 불편해소 방안에 대한 이견으로 파업까지 겪는 갈등 속에서도, 22차례에 걸친 노사교섭과정을 통해 노사 양측의 이견을 해소하고, 노사 합의를 통해 이전을 추진하게 되었다. 


□ 오는 3월초 대덕시대를 맞는 기정원이 약 15%로 전망되는 행정력 낭비요인을 제거하고, 중기청을 비롯하여 세종시에 집중되는 관련부처, 그리고 대덕연구개발특구에 밀집된 1,266개의 R&D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그들이 목표하는 세계 일류 기술혁신지원기관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 


     * 대덕특구 R&D 기관 현황 : 출연연(30개), 공공기관(8개), 국공립기관(14개), 비영리기관(30개), 교육기관(5개), 기업(1,179개) 등


 

담당부서소통홍보팀 담당자김민철 팀장 전화번호 044-300-0720

현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시나요?

페이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