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리스트 상세[보도자료]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육성전략 | |||||
작성자 | 홍****** | 작성일 | 06/09/14 (12:09) | 조회수 | 5678 |
---|
■ 문의 : APEC중소기업혁신센터 양훈화 선임연구원 02-2168-0621 / F 02-3787-0490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 커,
R&D 중심의 정책지원 강화 필요
- ‘08년까지 고용 27만명, 부가가치 22조원 창출 전망
? 혁신형 중소기업*의 고용인원은 2005년 40만명에서 2008년 85만명으로 45만명 증가 ? 혁신형 중소기업의 부가가치는 2005년 13조원(GDP 대비 1.8%)에서 2008년 56조원(GDP대비 6.7%)으로 43조원(4.9%P) 증가 ?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정책의 고용창출 효과는 27만명, 부가가치 창출효과는 22조원(GDP 대비 2.6%)으로 전망 |
* 기술 및 경영 혁신활동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소기업으로서, 벤처기업, 이노비즈 및 경영혁신형 중소기업이 대표적인 모델
? 참여정부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정책에 힘입어 혁신형 중소기업 증가세가 가속화되어 ‘06. 7월 말 현재 혁신형 중소기업 13,162개(중복제외)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혁신형중소기업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육성전략』연구용역을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 3만개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도출하였다.
□ 이번 연구결과에 의하면, 혁신형 중소기업은 고용창출, 매출액, R&D 투자규모 등에서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3~4배가 높은 경영성과를 보여 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면서 궁극적으로는 GDP 확대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효과를 기초로 정책당국이 일반 중소기업의 혁신성 제고에가장 효과적인 R&D 예산 지원 등을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 3만개 육성이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할 경우
○ 혁신형 중소기업의 고용인원은 2005년 40만명에서 2008년 85만명으로 45만명이 증가하고, 부가가치는 2005년 13조원(GDP 비중 1.8%)에서 2008년 56조원(GDP 비중 6.7%)로 43조원(4.9%p) 증가되며,
구 분 | 업체 수 | 고용 | 부가가치 | GDP 비중 |
---|---|---|---|---|
2005 | 1만개 | 40만명 | 13조원 | 1.8% |
2008 (예상) | 3만개 | 85만명 | 56조원 | 6.7% |
○ 과거의 중립적인 정책기조 유지시(혁신형기업수가 과거 ‘01~’05년 평균증가율로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시)와 비교하여, 혁신형 중소기업 집중육성으로 인한 고용창출 효과는 27만명이며, 부가가치 창출효과는 22조(GDP 비중 2.6%)이다.
구 분 | 업체 수 | 고 용 창출효과 | 총고용의 비 중 | 부가가치 창출 효과 | GDP 비 중 |
---|---|---|---|---|---|
2006 | 5,406 | 6만 9천명 | 0.30% | 5.6조원 | 0.74% |
2007 | 9,585 | 14만 9천명 | 0.63% | 12.0조원 | 1.52% |
2008 | 14,441 | 26만 7천명 | 1.12% | 21.5조원 | 2.60% |
※ 혁신형 중소기업 집중육성전략과 기존전략('01~'05년 평균증가율) 수행에 따른 차이로 추정
□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혁신역량 강화와 함께 혁신형 중소기업의 주요 성장비결인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
붙임: 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육성전략 (요약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