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리스트 상세[보도자료] 中企 작업환경 개선에 100억원 지원 | |||||
작성자 | 홍****** | 작성일 | 06/07/13 (12:07) | 조회수 | 6254 |
---|
2006년 7월 14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 보도 자료 | ||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 ||||
| ||||
150-970 서울시 영등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787 - 0400 ㅣ Fax. 3787-0480 | www.tipa.or.kr |
■ 문의 : 기술혁신부 부장 이훈희 담당 이찬형
02-3787-0505 / F 02-3787-0480
‘생산현장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 하반기
사업 착수
- 中企 작업환경 개선 및 인력난 해소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도 하반기 중소기업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에 100억원을 지원한다.
젊은 구직자들은 돈 보다는 안정성과 복리후생제도 등의 근무환경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실 속에서 일부 중소기업 생산현장은 열악한 근무환경 때문에 외국인 노동자마저도 근무를 기피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작업장의 흄, 스패터 등 유해 부산물 발생, 독성 유해원료 접촉, 고온·고압 소음발생, 고하중 물품의 이송·절단·교환 등 전형적인 직무기피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장비, 시스템, 물질 등의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 작업환경과 근로여건을 개선하여 중소기업 종사자의 이직율을 줄이고, 동시에 중소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하여 인력유입을 촉진하며, 생산성 향상 도모를 목적으로 동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06년도에는 240억의 예산으로 상반기에 97개 과제를 선정 지원하였으며, 하반기에는 보급확산과제와 중소기업과제로 나누어 약 70여개 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보급확산과제는 ’06년 하반기에 처음 실시하는 과제로서 동 사업을 통해 기 개발된 기술 및 장비를 유사업종 또는 작업장으로 보급하는 과제로써 ‘02~’04년까지 지원한 과제중 선별된 우수과제를 대학 또는 연구소와 중소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토록 되어 있으며 약 30여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며,
중소기업과제는 자체 기술개발 능력을 있는 중소기업이 자체 직무기피요인 해소를 위한 장비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약 40여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임.
이번 신청?접수된 과제는 각 지방 중소기업청의 현장평가와 전문기관인 기술정보진흥원에서 기술 및 사업성 평가 등을 통해 9월 중에 지원업체를 최종 선정하여 개발자금을 지원할 계획임.
☞ 접수기간 : 2006. 7.11(화) ~ 8.10(목) 18:00까지(도착기준)
☞ 접수방법 : 제출서류를 우편 또는 방문제출
☞ 접수처 : 주관기관 소재지 관할 지방중소기업청 (사무소)
*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문의처 |
|
|
| |
중소기업청 기술개발팀 : ☏ 042-481-4442, 4445 FAX 042-472-3289 홈페이지(www.smba.go.kr) : 정책마당 → 기술지원 → 생산현장직무기피요인 해소사업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02-3787-0503~0506 FAX02-3787-0480 홈페이지(www.tipa.or.kr) : 사업소개 → 기술사업 → 생산현장직무기피 요인해소사업 ? 해당 지방중소기업청(사무소)
|
[별첨 1: 하반기 지원과제의 종류]
? 보급·확산과제
? 동 사업으로 개발된 기술의 보급·확산을 위하여 연구소·대학, 중소기업(3개 이상)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기 개발된 기술의추가 후속 개발로 필요로 하는 기업에 지원하는 과제 (개발기간 1년이내)
- 과제당 5억원 범위 내에서 총 사업비의 60%이내 지원
- 총 사업비의 40%는 연구소?대학, 참여기업이 부담하며, 현금 부담비율은 12.5%이상(참여기업 부담)
- 지원과제는 정부가 지정·공고하는 지정공모과제로 제한
※ 개발성공시 정부지원금의 30%를 기술료로 회수
※ 지정공모과제는 중소기업청 홈페이지(http://www.smba.go.kr)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홈페이지 (http://www.tipa.or.kr)에 게재
? 중소기업 개발과제
? 자체 개발 능력이 있는 중소기업이 주관하여 직무기피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개발 과제(개발기간 1년이내)
- 과제당 1.5억원 범위 내에서 총 사업비의 75%이내 지원
- 총 사업비의 25%(현금부담비율 12.5%이상)는 기업이 부담
※ 개발성공시 정부지원금의 30%를 기술료로 회수
※ 지원과제는 중소기업 자유응모과제
[별첨 2: 우수 지원사례]
1. 개발개요
한국생산기술연구원(강남현 박사)이 과제를 주관하여 제빙기, 냉동기 등 용접작업을 주로 하는 금성공조플랜트의 직무기피요인인 단순 반복작업과 용접흄 발생 환경을 해소하기 위한 용접장치를 개발한 결과물임 |
2. 개발목표
? 용접공정에서 작업자의 시력과 눈과 경험에 의존해 오던 피용접물의 용접선 위치를 공압심축을 이용한 조심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맞추어 주고 고정시켜 준다 (작업자 시력보호).
? 자동조심장치를 작동하고 텅스텐 전극은 피용접물의 경계선을 따라 회전하며 자동용접을 수행하고, 용접이 끝난 후 이동형 스프링 밸런스에 고정된 자동용접장치의 조심장치를 풀어 다른 튜브에 설치한다 (단순반복적인 용접노동강도 감소).
? 따라서 기존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용접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자동용접장치와 용접기와의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개인용 소형 튜브-튜브시트 용접장치의 개발
3. 개발 결과
? 작업현장 전ㆍ후 비교
설 치 전 | 설 치 후 |
수용접 | 반자동 용접 |
설 치 전 | 설 치 후 |
수용접 | 반자동 용접 |
4. 개발 성과
? 작업환경개선
- 개발전 :튜브시트 위에서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로 작업하고 단순반복적인 수용접의 연속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음
- 개발후 : 허리를 심하게 굽히지 않거나 의자에 앉아서 용접헤드를 교체하는 작업만을 하면 되므로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자세가 거의 없어졌음
? 품질 및 생산성 향상
- 개발전 : 용접자의 유무 혹은 당일 용접자의 컨디션에 따라 용접부의 품질이 불균일함
- 개발후 : 안정된 용접조건의 실현하여 용접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 가능하게 함
? 인력유입효과
- 개발전 : 대기업의 대형 설비를 제외하고는 3D 환경의 용접장에서 직접 작업을 하므로 젊은 기술자들을 고용하기 힘들고 이주노동자 등을 고용하여 노동력을 충당하는 실정
- 개발후 : 숙련된 용접기술자가 용접 외 다른 작업에도 투입되면서 시각적/근골격계 피로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반자동화 접기술이 최적화 된 후 다른 기술자들도 용접이 가능하게 됨
? 산업재해감소
- 개발전 : 근골격계 질환 및 시각적 피로를 많이 느꼈음
- 개발후 : 산업재해를 일으킬 수 있는 시각적/근골격계 피로 누적으로 인한 주의력 감소를 일으킬 수 있는 소지를 크게 격감시킴
? 기타 효과
- 장비의 개발로 인해 용접기사 대신 비 숙련 일반작업자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불량률 감소 및 용적관련 임금의 절감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