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 확보 차원에서도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세계 각국은 자국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 향상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를 파악하고 있음.
□ 이와 관련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실시한 「2003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와 영국 통상산업부(DTI)의 「Business in the Information Age - International Benchmarking Study 2002」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됨.
○ 인터넷 이용과 관련하여 독일, 이탈리아를 제외한 OECD 주요국들은 초고속인터넷(ADSL/XDSL, 전용선) 사용율이 4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경우 88%가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 통신망을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줌.
○ 그러나 OECD 주요국은 정보통신기술(ICT) 환경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계획에의 반영률이 50%내외로 높지만,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는 동 비율이 22%에 불과해 정보기술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 이와 관련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웹사이트 구축율은 58%로 독일(85%), 영국(80%) 등과 비교해 크게 뒤져 있으며, 여타 OECD 주요국과 비교해서도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향후 e-비즈니스 수행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 우려됨.
<그림 1> 웹사이트 구축율(%)
○ 또한 OECD 주요국들은 온라인 마케팅 활용비율이 50%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12%만이 온라인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2> 온라인 마케팅 활용

○ 한편 생산부문에의 온라인 기술 활용측면에 있어서는 OECD 주요국들도 아직은 미흡한 수준인 가운데 미국(17%), 캐나다(16%), 독일(16%) 등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고, 일본(7%), 프랑스(8%), 스웨덴(8%) 등이 낮은 수준이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중간 수준(9.5%)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3> 생산부문에의 온라인 기술 사용비중
□ 종합적으로 국내 중소기업은 인터넷 연결속도 등 정보인프라 측면은 세계적 수준이지만, 이를 활용하여 경영성과를 제고시키는 데에는 미흡한 것으로 분석됨.
○ 따라서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정보화전략을 수립ㆍ이행하고, 성과연계형 정보화 추진 등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정보화 사업이 전개되어져야 할 것임.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발행하는 ‘KIMI issue 제3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본 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로 접속하시거나,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2~3)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